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실기12 [정보처리기사 실기] 3. 통합 구현 연계 데이터 구성 ▶ 통합 구현 더보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해결하고,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위해 단위 기능을 하는 모듈 간의 연계와 통합 ▶ 통합 구현 구성요소 5가지 더보기 송신 시스템: 연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 중계 서버: 송신 데이터 오류 처리 및 수신 시스템의 형식으로 데이터 변환, 매핑 수행 수신 시스템: 수신 데이터를 정제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 연계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로 속성, 길이, 타입 등이 포함됨 네트워크: 각 시스템을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유무선의 물리적인 망과 송수신 규약을 위한 프로토콜을 의미 연계 요구사항 분석 ▶ 연계 요구사항 분석 더보기 통합 구현을 위해 연계 데이터와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패턴 등 사용자 요구사항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는 행위.. 2021. 10. 7. [정보처리기사 실기] 2. 데이터 입출력 구현 데이터베이스 개요 ▶ DBMS 더보기 다수의 사용자들이 Database 내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중복성과 종속성을 해결해준다. ▶ DBMS 고려사항 5가지 더보기 가용성 상호호환성 성능 기술지원 구축비용 ▶ DBMS 접속 기술 3가지 더보기 JDBC: Java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Database에 접속하며, Java SE에 포함되어있는 표준 API이다. 접속하려는 DBMS에 대한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ODBC: Database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개방형 API로, 언어에 관계없이 사용한다. 접속하려는 DBMS의 종류를 몰라도 된다. MyBatis: JDBC를 개선한 SQL Mapping 기반 오픈 접속 프레임워크로, SQL 문장을 분리하여 XML 파.. 2021. 10. 4. [정보처리기사 실기] 1. 요구사항 확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SDLC) 더보기 시스템의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체계화한 것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 종류 4가지 더보기 폭포수 모델: 한 단계씩 순차적으로 개발하며 이전단계로 되돌아갈 수 없다. 계획 -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순으로 개발을 진행한다. 프로토타이핑 모델: 프로토타입을 구현해,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하며 개발을 진행한다. 나선형 모델: 반복적으로 제품을 개발하며 위험을 최소화한다. 계획 및 정의 - 위험 분석 - 프로토타입 개발 - 고객 평가 순으로 개발을 진행한다. 반복적 모델: 구축 대상을 나누어 증분을 병렬적, 반복적 으로 개발 후 통합한다.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종류 6가지 더보기 구조적 방법론: .. 2021. 9. 2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