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jects/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2. 라즈베리파이 개발환경 구성

by DevJaewoo 2022. 8. 17.
반응형

라즈베리파이 개발환경 구성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기 위해 우선 OS를 설치해야 한다.

예전에는 OS 이미지 파일을 통째로 받아서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해 SD카드에 구워줬지만, 이제 라즈베리파이에서 툴을 지원해준다.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raspberry-pi-desktop/

 

Raspberry Pi Desktop for PC and Mac – Raspberry Pi

From industries large and small, to the kitchen table tinkerer, to the classroom coder, we make computing accessible and affordable for everybody.

www.raspberrypi.com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micro SD 카드를 PC에 꽂으면 아래와 같이 저장소에 SD카드가 뜬다.

설치할 SD카드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OS가 구워진다.

 

SD카드 선택

 

설치 도중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절대 포맷을 클릭해선 안된다.

클릭하면 다시 설치해야 된다.

디스크 포맷을 누르면 안된다

 

OS가 다 구워지면, 라즈베리파이에 꽂고 전원을 연결하면 된다.

언어, 시간대, 네트워크, 업데이트 여부 등을 물어보는데, 원하는대로 선택하여 진행하면 된다.

 

HDMI를 연결했을 때 아래와 같은 바탕화면이 뜨면 성공이다.

 

부팅 성공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패키지 관리자를 업데이트 해줄 수 있다.

만약 설치 과정에서 업데이트를 했다면 최신 버전으로 되어있을 것이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pip install --upgrade pip

SSH 설정

라즈베리파이에서 직접 개발하면 마우스도 2개고, 키보드도 2개고, 심지어 복사 붙여넣기, 파일 전송도 어려워 SSH를 사용하는게 편하다.

 

Ctrl + Alt + T 를 눌러 터미널을 열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 라즈베리파이 설정 창으로 이동할 수 있다.

sudo raspi-config

 

Interface Options - SSH - 예 순서대로 선택하여 SSH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Interface Options
SSH
예 선택

 

원격에서 SSH를 통해 연결하려면 IP주소를 알아야 한다.

 

hostname -I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IP주소가 뜬다.

IP주소 확인

 

이제 SSH 프로그램을 이용해 IP 주소로 연결하면 된다.

SSH를 통해 연결

반응형